naanyaar3218 개인적으로 삼키아(이론)를 삼키야 학파의 선상에서 보지 않고 요가학파나 육파학파등등 나가르주나나 붓타이후의 부디즘을 논한 논(책) 들을 뒤로 하고 더 고대로 생각하고 나아가서 우빠니샤드 이전 베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인간의식의 초석이자 완성으로 보는 것은... ... 고립을 의미하는 것가? 삼키아 이전은 나를 상정하지 않는 관찰, 즉 언어 이전까지 혹은 언어 성립까지를 삼키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같고 삼키아 이후, 이후로 표현하기는 좀 그렇지만, 삼키아 이후 나 를 상정하고 나 라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 같다.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 의식의 오류, 무아도 이미 낡은 이야기이며 공이란 말로 다시 되돌리려해도 이들은 이미 벽을 친 상태, 그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 의식이 알아낸 삼키아, 우주의 질서도, .. 2011. 7. 23. 나는 브람마다 모두가 브람마다. 브람마가 뭔지를 아는데 까지... ... 나 라는 것이 뭔지 아는데 까지... ... 연기로 설명되든 공으로 설명되든 중도로 표현되든... ... 어떻든... ... freedom from the known. nothing? 2011. 7. 22. didgeridoo 2011. 7. 22. 네게 가장 두려운 것이 뭐냐? 무엇이 두려운 것일까? ... ... 2011. 7. 22. flower70 2011. 7. 4. flower69 fl 2011. 7. 4. 이전 1 ··· 398 399 400 401 402 403 404 ··· 5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