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rmuring469 콘크리트 로드 어디까지나 숲을 자르고 계곡을 메우고 웨스트 서울 마운트 우면 내 고향은 콘크리트 로드 2011. 8. 7. 나는 누구인가? 자아실현 우리는 보통 자신의 존재를 사회적인 지위, 친구, 가족, 자신의 신체 욕구와 욕망 그리고 마음의 감성적, 지적 표현과 동일시한다. 그러나 드물지만 자신에게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우리 존재의 진정한 본성을 묵상하는 시간을 갖는다. 우리는 모두 “나는 존재한다” 라는 존재감을 갖고 있다. “I am(나는 존재한다.)”라는 느낌은 생각, 기억,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 그것이 우리가 개체로써 누구인지를 한정짓는다. 그것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과 육신을 지닌 우리 마음의 정체성이다. “나는 존재한다”라는 느낌을 좀 더 깊이 관찰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면, 우리는 더 깊은 존재의 의식, 더 깊은 “자아”를 찾을 수 있다. 그 경험적 자각은 단지 “나는 존재한다.”라는 것이.. 2011. 8. 4. 꿉꿉 같은 것을 두고 다르게 말 한다. 같은 것을 두고 다르게 본다. 본다는 것, 의식 이후? 혹 의식 이전도 가능할까? 2011. 7. 29. 먼 곳의 별이 죽음으로 표현 되지 않고 담담하게, 경이로운 사태로 다가오며 그저 그것이 소멸과 생성의 변화로만 보이고 삶과 죽음의, 공포로 느껴지지 않는 것은 그저 멀리 있고 직접적인 영향이 없기 때문인가? 알면 알수록 무서워질 수도 있겠지. ^^ 부분이 전체라는 것을 알고 전체가 부분이라는 것을 알고 그것이 나누어지지 않는 것이라는것을 안다? ... ... 모두가 하나되서 어쩌자는 건지... 밥은 먹었냐? 하나의 화두도 세월을 달리하며 늘 살아 꿈틀댄다. 전체와 하나의 관계에 대한 하모니는? 이상과 현실은? 밥은 먹었냐? 죽어 본들... ... 살아 본들... ... 밥이 넘어가냐? ^^; 2011. 7. 27. neti neti 선택이 주는 고통, 갈등. Hyle Eidos neti neti 고개를 들어 멀리. 2011. 7. 26. 개인적으로 삼키아(이론)를 삼키야 학파의 선상에서 보지 않고 요가학파나 육파학파등등 나가르주나나 붓타이후의 부디즘을 논한 논(책) 들을 뒤로 하고 더 고대로 생각하고 나아가서 우빠니샤드 이전 베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인간의식의 초석이자 완성으로 보는 것은... ... 고립을 의미하는 것가? 삼키아 이전은 나를 상정하지 않는 관찰, 즉 언어 이전까지 혹은 언어 성립까지를 삼키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같고 삼키아 이후, 이후로 표현하기는 좀 그렇지만, 삼키아 이후 나 를 상정하고 나 라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 같다. 오해가 발생한 것이다. 의식의 오류, 무아도 이미 낡은 이야기이며 공이란 말로 다시 되돌리려해도 이들은 이미 벽을 친 상태, 그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다. 그들, 의식이 알아낸 삼키아, 우주의 질서도, .. 2011. 7. 23.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79 다음